- 글번호
- 667934
※ 한국문화자원의이해1 차시별 교재쪽수 관련 안내
- 작성자
- 도시콘텐츠·관광학과
- 조회수
- 427
- 등록일
- 2023.08.24
- 수정일
- 2023.08.24
안녕하세요, 학우님들. 관광학과입니다.
한국문화자원의이해1의 경우 동영상 강의와 교재 순서가 상이한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해 교과목 강의계획서에서 안내를 해드리고 있으나,
관련 내용의 확인을 어려워하시는 학우분들을 위해 추가로 공지를 해드립니다.
그럼 아래 내용 확인하셔서 학습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
강의주제 |
세부내용 |
교재쪽수 |
1강 |
고분, 지하에 봉인된 선사시대 |
- 청동기, 철기시대의 고분 - 고구려의 고분 - 백제의 고분 - 신라의 고분 - 가야의 고분 |
교재 1~2장 |
2강 |
사찰의 위치와 구조 |
- 사찰의 위치와 역할 - 사찰건축물의 배치와 의미 - 사찰건축물의 종류와 의미 |
교재 3장 |
3강 |
법당과 불보살 |
- 불상의 의미와 종류 - 법당의 분류 |
교재 4장 |
4강 |
한옥과 마을 |
- 한옥의 공간구성 - 한옥의 구조 - 마을의 개념과 공간구조 |
교재 8장 |
5강 |
한옥과 마을의 문화 |
- 한옥의 생활방식 - 마을의 문화 - 문화재로서의 한옥과 마을 |
교재 9장 |
6강 |
조선 이전의 궁궐 |
- 고대왕국의 출현과 궁궐, 궁성 - 삼국시대의 궁궐 - 고려시대의 궁궐 |
교재 5장 |
7강 |
조선시대의 궁궐 |
- 조선시대 궁궐의 공간구성 - 궁궐의 외전과 내전 - 왕족들의 궁궐생활 |
교재 6장 |
8강 |
대한제국과 경운궁 |
- 경운궁의 공간구성 - 경운궁의 외전과 내전 - 경운궁의 신성공간 |
교재 7장 |
9강 |
한국 전통정원 |
- 정원의 어의 - 한국 전통정원의 유형과 특징 - 정원의 구성요소 |
교재 12장 |
10강 |
한국 전통정원 사례 |
- 담양 소쇄원 - 보길도 윤선도 원림 - 영양 서석지 |
교재 13장 |
11강 |
조선시대 성균관과 향교 |
- 과거제도와 교육제도 - 성균관과 향교의 문묘배향공신 - 성균관과 향교의 교육내용 - 성균관과 향교의 공간구성 |
교재 10장 |
12강 |
조선시대 서원 |
- 서원의 등장 배경 - 서원의 교육공간 - 서원의 제사공간 |
교재 11장 |
13강 |
조선시대 왕릉 |
- 왕릉의 공간구성 - 왕릉의 조성과 부장품 - 왕릉의 매장영역 - 왕릉의 제사영역과 관리영역 |
교재 14장 |
14강 |
개항기 근대건축 |
- 근대건축의 등장배경 - 개항기 근대건축의 특징 - 외국공관건축 - 선교사에 의한 종교건축 |
교재 15장 |
15강 |
일제강점기 근대건축 |
- 조선총독부 등 관 주도의 공공건축 - 일본 민간 상업 및 업무용 건축 – 민족건축 - 문화자원으로서의 한국 근대건축 |
교재 15장 |
-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